2024년8월5일

동해 바다를 보며 한 생각


다양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가 되어간다고 하지만 사실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행동 양식(작업물 포함)을 보면서 내뱉은 무심한 배타적 태도는 그들을 다양성을 지켜내는 역할자보다는 자폐적 공상가로 만들어버리기도 한다.

사람들은 타자와 마주하면서 얻는 행복과 즐거움만큼 그 관계에 상처를 받고, 수치를 느낀다. 부정적 감정이나 자극이 긍정적인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오래 잔여하는 탓에 결국 관계로부터의 회피나 부정으로 결과 되기도 한다.

시간이 흐르고 나이를 먹어가면서 상처가 쌓인다. 수치스러운 기억이 늘어난다. 그런데 여기서 내가 나아가야 할 길은 혼자만의 세계로 들어가면서 한 없이 고립되는 방향만은 아니겠지. 그렇지만 한동안 사람을 만나기가 어려웠다. 지금도 마찬가지고.

계속되는 충돌에서 견디기 어려운 아픔이 생기지만, 뭐 어쩌겠나. 누구든 만나면 언제나 겪는 상황인 걸. 그렇다고 나의 성급한 태도에서 나오는 말과 행동을 온당하다고 생각하거나, 타인이 받는 상처와 그에게 불러일으키는 수치심이 마땅하다고 합리화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나의 인격의 문제이지. 나라는 존재가 누군가에게는 상처고 수치일 수 있다. 나는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개인적인 노력을 해야만 하겠지. 평생을 다해서.

다만 관계에서는, 나는 다시 용기를 내어 사과로서 미안함을 표현하고 다시 나로서 존재하게 하는 행동 양식으로 타자를 마주해야 하지 않을까. 나로서 다시 타자를 마주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어떻게 본다면 다시 타인에게 고통을 주겠다는 시위 같기도 한 것이 참 아이러니하다. 고통을 받겠다는 것 같기도 하고.

나는 계속 누군가가 느끼는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어떤 것에 책임을 가지고 있어야 할테다. 
내가 거기에 겁을 먹고 회피하고 부정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시 한걸음 다가갈 용기를 가질 수 있을까.

동해 바다는 그 모습이 시원시원하다.
서울에 다시 왔다.